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념에 관한 정리보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위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프로젝트 3을 진행하다 보면, anon page나 file page에서 swap in 함수로 load_segment 함수를 사용할 일이 생긴다. 이때 load를 할 주소 값을 user virtual address로 넘겨주는 경우와 kernel virtual address로 넘겨주는 경우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또 user virtual address의 경우 kernel virtual address와의 mapping 정보를 page table에 추가해 주었기 때문에 참조가 가능한데, kernel virtual address는 어떻게 바로 참조가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User..
이번 주는 가상 메모리와 관련된 과제를 진행하였다. VM 파트는 크게 Memory Management, Anonymous Page, Stack Growth, Memory Mapped Files, Swap in/out으로 구분되며 extra로 Copy-on-Write까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의 내용들 중에서 Memory Management 파트에 대해 다뤄볼 예정이다. User Pool & Kernel Pool 사실 memory management 파트에서는 구현할 부분이 다른 파트에 비해 많지는 않은 편이다. 다만 초반에 코드의 흐름을 잡기가 힘들고, 가상 메모리 개념 자체가 잘 와닿지 않기때문에 핀토스의 메모리 구조와 프레임 할당 방식에 관해 중점적으로 다뤄볼 것이다. 우선 핀토스는 아래 그림과..